본문 바로가기

정치

'[백신 없는 겨울' 이어 봄까지].."뻥튀기 발표 그만"

'[백신 없는 겨울' 이어 봄까지].."뻥튀기 발표 그만"

 

65세 이상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의사 재량 맡긴다는 논의에 복지부 관계자 반발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특집 브리핑 위해 이동하는 정은경 청장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장을 맡은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질병관리청장)이 8일 오후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과 관련한 궁금증 등을 묻고 답하는 시민참여형 특집 브리핑을 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 남재환 가톨릭대 의생명과학과 교수, 정은경 청장, 2021.2.8 연합뉴스

정부가 오는 16일 코로나19 백신 세부 접종계획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65세 이상 고령자 접종이 논란이다.

지난 11일 비공개로 열린 질병관리청 예방접종전문위원회에서 오는 26일부터 접종이 시작되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접종 대상을 논의했으나 65세 이상은 접종하지 않기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6월까지 안정적으로 물량을 확보할 수 있는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가 유일하다. 모더나, 화이자 등의 백신은 올 2분기부터 도입한다는 것이 정부 발표지만, 절대적으로 공급 부족인 세계 백신 상황을 봤을 때 7월 이후 올 하반기에나 국내에 들어올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한 전문가는 정세균 국무총리가 2월 초 들어와서 접종까지 할 수 있다고 호언장담했던 화이자 백신은 설 연휴가 시작된 지금에도 언제 접종이 시작될지 기약없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복지부 여준성 장관정책보좌관은 12일 “현장 의사 개인에게 백신의 고령자 접종 판단을 맡기는 일은 없을 것이고 있어서도 안된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백신 이송하는 볼리비아 닭고기 수송용 냉장 트럭 - 2일(현지시간) 볼리비아 중부 트리니다드에서 닭고기 수송용 냉장 트럭 한 대가 러시아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스푸트니크 V)을 이송하고 있다.

볼리비아 정부 대변인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역 보건당국이 준비했던 백신 수송 차량에 문제가 생겨 긴급하게 냉장 차량을 가진 업체들을 수소문했다”고 설명했다.

여 보좌관은 “고령자에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허용하든 접종을 미루고 추가 임상자료를 검토 후 허용하든 정부가 책임지고 결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영국 등 50개 국가에서 조건부 또는 긴급 사용승인을 받았지만, 3상 임상시험에서 65세 이상 고령환자의 비율이 낮아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덴마크,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등 유럽 선진국에서 65세 이상 접종을 거부했다.

서울시는 질병관리청으로부터 확보한 10대의 초저온 냉동고를 노인 인구가 많은 자치구 10곳에 배정한 가운데 조은희 서초구청장은 문재인 정부의 백신 접종에 대해 ‘양치기 정부’라고 성토했다. 냉동고가 배정된 자치구 10곳은 노원·중랑·성북·은평·강서·구로·관악·강남·송파·강동구다.

조 구청장은 백신 수급계획을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며, 백신접종 ‘뻥튀기 발표’는 이제 그만 하라고 주장했다.

조 구청장은 “2개월 전 정부가 호언장담했던 백신 4400만명 분 확보, 2~3월 접종은 물 건너가고 있다”면서 “백신접종 ‘보여주기 쇼’하지 말고, 러시아 백신까지 꺼내 든 이유를 거짓 없이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고 비판했다.

- 정세균 국무총리가 6일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코로나19 백신 중앙예방접종센터를 방문해 문진표를 작성하고 체온을 측정하는 대기실을 둘러본 후 이동하고 있다. 2021.2.6 연합뉴스

조 구청장은 서울 서초구를 비롯한 전국 일선현장에서는 간호사들이 애초 계획대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직접 어르신들을 찾아가 접종해 드리기 위해 대기 상태지만, 아직 몇 세 이상 어르신에게 어떻게 접종 해야 할지 아무런 지침이 없다고 밝혔다.

질병청이 오는 16일 최종 결정을 내린다지만 갈팡질팡하는 상황을 비판했다.

정부가 앞서 천만 명분씩 확보했다고 발표한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 백신의 선공급 물량도 2월 말~3월 초 각기 75만 명분, 5~6만 명분이 찔끔 들어올 뿐이고, 이후 물량 도입 시기는 깜깜이인 상황이다.

우리나라도 백신접종을 시작했다고 보여주기식 생색만 겨우 낼 수 있는 수준에 불과한 것이다.

조 구청장은 인구 68%가 접종을 끝낸 이스라엘을 비롯해 세계 1억 6000만명이 백신을 맞았지만 K방역의 모범국가는 사라졌다고 성토했다.

그는 “16일 질병관리청의 공식발표를 기다려야겠지만, 65세 이상에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포기하면 최소한 상반기까지 어르신들에게 백신 접종을 할 수 있는 옵션이 크게 줄어든다”면서 “이대로라면 ‘백신 없는 겨울’에 이어 ‘백신 없는 봄’까지 맞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서울신문사. 

'[백신 없는 겨울' 이어 봄까지].."뻥튀기 발표 그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