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하는 달러… 기축통화 위상 흔들리나
추락하는 달러… 기축통화 위상 흔들리나
7월, 10년 만에 가장 큰 폭 하락… 달러 신용 붕괴 전조 가능성도
원본보기
코로나19 팬데믹 엄습으로 지난 3월 미국 달러화가 보여준 위력은 명불허전이었다. 한국은행을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은 자국 통화가치가 급락하자 미 연방준비제도에 통화스와프를 요청하고 나서는 등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상황이 재연됐다. 유로, 엔, 파운드,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나, 스위스 프랑 등 주요 6개 통화와 비교한 달러 인덱스는 3월 19일(현지시간) 103.60으로 최근 10년래 최고치를 보였다.
그러나 4개월 남짓 지난 현재 미 달러화는 내리막길을 가고 있다. 그것도 급경사를 타고 있다. 7월 한 달 달러 인덱스는 4.1% 떨어지면서 2010년 9월 이후 가장 큰 하락 폭을 보였다. 지난달 30일 달러 인덱스가 하락 지지선으로 여겨지던 94가 깨진 93.00을 기록하면서 90선 붕괴도 시간문제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기축통화로서의 위상 추락과 함께 달러 신용 붕괴의 전조가 될 수도 있다는 경고가 나오는 등 달러 향방이 초미의 관심거리로 떠올랐다.
코로나 사태 이후 글로벌 금융시장은 미 연준 등의 유동성 확대에 힘입어 주식 등 위험자산 선호 현상을 보였다. 2일 유진투자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민감 통화로 통하는 호주 달러는 엔화 대비 지난 3개월간 7.6% 상승했다. 경제성장과 밀접한 구리 가격도 같은 기간 23.4%나 오른 점이 이를 반영한다.
그러나 최근 한 달간 달러 가치 급락에는 이처럼 단순한 위험자산 선호 현상만으로는 설명이 안되는 요인들이 담겨 있다. 최근 코로나 관리 부실로 불거진 미국의 위상 추락과 함께 유동성 확대에 따른 정부부채 증가 등도 종합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6월 이후 유럽은 코로나 감염 확산세가 줄어들고 실물경제도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개선되는 흐름을 보이는 점도 달러에 충격을 주고 있다는 진단이다. 7월 마킷(Markit) 조사 결과 서비스업 구매자관리지수(PMI)가 미국은 50 미만인 49.6에 그친 반면 유럽은 25개월래 최고치인 55.1을 기록했다.
미국은 여야가 부양책을 놓고 분열된 반면 유럽은 최근 8년 만에 경제회복기금 조성에 합의하는 등 단결력을 과시하고 있다. 이에 유로화 가치는 최근 한 달간 10%나 상승했다. 최근 10년 만기 미 재무부 채권의 실질 금리가 10년 만에 마이너스 1%로 최저치를 보인 것은 코로나 확산에 따라 연준의 유동성 공급이 더 확대될 수 있다는 기대를 담고 있다.
문제는 유동성 확대가 이제는 경기부양이라는 긍정적 측면보다 달러 가치의 추가 추락을 부추기는 부정적 측면이 더 부각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미 정부부채 확대 등 수면 아래 가라앉았던 요인들도 부정적으로 거론되기 시작했다. 지난달 31일 영국의 신용평가 회사 피치가 정부부채 문제를 지적하며 미국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강등한 점도 예사롭지 않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선을 미루자는 내용의 트윗을 날린 점을 볼 때 과연 대선 패배도 승복할지 의문이라는 우려가 부상 중이라고 지적했다.
금값 고공행진도 투자자들이 달러를 금과 같은 안전자산으로 보지 않기 시작했거나 달러의 ‘준비통화(reserve currency)’ 위상이 흔들리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는 평가다. 준비통화는 각국 중앙은행이 대외 지급을 위해 보유하는 통화로 달러 비중이 68%로 절대적이다. 유로화와 위안화 비중은 각각 28%, 2%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달러가 기축통화로서의 위상을 내려놓을지에 대해서는 아직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많다. 신현송 프린스턴대 경제학과 교수는 FT에 “지난 3월 신용 패닉은 오히려 달러화의 국제적인 위상을 더 강화시켰다“며 “전 세계가 달러화를 전면적으로 외면할 시기는 아직 도래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동훈 금융전문기자 dhlee@kmib.co.kr
추락하는 달러… 기축통화 위상 흔들리나